검색 메뉴
검색버튼

이차전지

EV 배터리 전쟁.. 테슬라 vs. BYD 승자는 누구?

독일 연구진 심층 분석.. 두 회사 설계 철학, 성능 등 통찰

이정태 기자

기사입력 : 2025-03-24 16:42

공유하기

닫기
카카오톡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트위터

텍스트 크기 조정

닫기
이미지 확대보기
전기차 시장의 뜨거운 경쟁은 배터리 기술력에서 판가름 난다. 최근 독일 RWTH 아헨 대학교 연구진은 전기차 업계의 거물, 테슬라와 BYD의 배터리를 철저히 분석하여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했다. 그들의 연구는 두 회사의 배터리 설계 철학, 성능, 그리고 잠재력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을 제공한다.

두 거인의 서로 다른 길, 성능 vs. 효율성


테슬라와 BYD는 배터리 개발에 있어 확연히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 테슬라는 에너지 밀도와 성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반면, BYD는 효율성과 비용 효율성을 우선시한다. 이러한 차이는 배터리 화학 성분과 설계 방식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테슬라의 4680 배터리는 NMC811 화학 성분을 사용하여 높은 에너지 밀도(241.01Wh/kg, 643.3Wh/l)를 자랑한다. 이는 주행 거리와 출력 성능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요소다. 반면, BYD의 블레이드 배터리는 LFP 화학 성분을 사용하여 에너지 밀도는 상대적으로 낮지만(160Wh/kg, 355.26Wh/l), 뛰어난 열 관리와 안전성을 제공한다.

테슬라 모델 S/X 90 5.6 kWh 24V 배터리 EV 모듈 오프 그리드 태양광. 사진=eBay이미지 확대보기
테슬라 모델 S/X 90 5.6 kWh 24V 배터리 EV 모듈 오프 그리드 태양광. 사진=eBay

숫자로 드러나지 않는 숨겨진 강점


단순히 수치만으로 배터리 성능을 평가할 수는 없다. BYD의 프리즘 셀 형태는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열 발산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실제 주행 성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특히, 고온 환경에서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한 경쟁력이다.

연구진은 두 회사 모두 양극에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실리콘은 에너지 밀도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 소재로 알려져 있지만, 두 회사는 각자의 기술력으로 이를 극복하고 있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이미지 확대보기
BYD 블레이드 배터리

설계와 제조 기술 차이


배터리 셀 구조에서도 두 회사는 차이를 보인다. 테슬라는 원통형 4680 셀을 사용하는 반면, BYD는 프리즘 형태의 블레이드 배터리를 채택했다. 또한, 전극 호일 연결 방식에서도 테슬라는 레이저 용접을, BYD는 레이저와 초음파 용접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등 각자의 기술력을 선보였다.

한국 시장에 미치는 영향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 전기차 시장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BYD의 저렴한 가격과 뛰어난 효율성은 가격 경쟁력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 반면, 테슬라는 여전히 높은 에너지 밀도와 성능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태 글로벌모빌리티 기자 jtlee@g-enews.com
<저작권자 © 글로벌모빌리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시승기
기획·이슈
많이 본 기사